(2018.01.01) PMC
<<<希望찬 새해를 맞이하여 모든 會員님들께 큰 幸福을 祈願합니다!!!>>>
今週分 노래를 紹介합니다.
[I understand (Auld lang syne)]
이 노래는 1961년 G-Clefs 가 發表했읍니다. 內容은 戀人과의 離別을 다룬 것인데 background music으로 年末頌인 Auld lang syne 이 나옵니다. 따라서 舊年과 作別하는 狀況과 戀人을 떠나 보내는 아쉬운 狀況이 一致합니다.
I understand*1
[作詞/曲: Pat Best]
I understand(Should auld acquaintance)
나는 알아요
Just how you feel(be forgot)
그대가 어떻게 느끼는지
Your love for me(And never brought)
나에 對한 그대의 사랑은
[Why not reveal]*2?(to mind?)
왜 드러나지 않나요?
It's over now(Should auld acquaintance)
이젠 모두 끝났지만
But it was grand(be forgot)
(그대와 함께 했던 時間은) 정말 좋았었어요
I understand(And days of)
나는 알아요
I understand(Auld Lang Syne)
나는 알아요
If you ever(for Auld Lang)
만약 그대가
Change your mind(Syne, my dear)
마음을 바꾼다면
Come back to me(for Auld Lang)
나에게 오세요
And you will find(Syne)
그러면 그대는 볼거예요
Me waiting there(We'll sip a cup)
At your command(of wine, my dear)
내가 거기서 “그대의 命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or 그대가 하자는 대로 할 準備가 되어 있는 것을)”
I understand(for Auld Lang)
나는 알아요
I understand(Syne)
나는 알아요
I miss you so
나는 그대가 너무 그리워요
Please believe me
제발 나를 믿어주세요
When I tell you
내가 그대에게 말을 할 때
I just can't stand
To see you go
You know
나는 그대가 떠나가는 것을
到底히 볼 수가 없는 것을
그대는 알잖아요
If you ever(Should auld acquaintance)
만약 그대가
Change your mind(be forgot)
마음을 바꾼다면
Come back to me(And never brought)
나에게 오세요
And you will find(to mind?)
그러면 그대는 볼거예요
Me waiting there(Should auld acquaintance)
At your command(be forgot)
내가 거기서 “그대의 命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or 그대가 하자는 대로 할 準備가 되어 있는 것을)”
I understand(And days of)
나는 알아요
I understand(Auld Lang Syne)
나는 알아요
[Spoken:]
I understand
나는 알아요
Just how you feel
그대가 어떻게 느끼는지
Let bygones
Be bygones
지나간 일들은
지나간 일들로 합시다
But always remember
그러나 언제나 잊지 마세요
I love you
나는 그대를 사랑해요
I love you
나는 그대를 사랑해요
I love you
나는 그대를 사랑해요
(We'll sip [a cup of wine]*3, my dear,
for Auld Lang Syne)
(옛 追憶을 위해, 그대여, 우리는 술을 마시리라)
I understand
나는 알아요
/////////////////////////////////////////////////////////////////////////
*1. Background music은 歐美에서 年末 子正에 불리는 Auld lang syne (Old long since 또는 old long ago)입니다. 이는 Scotland 言語로서 “옛날에”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The phrase ‘Auld Lang Syne’ itself means ‘old long ago’, which can be translated as ‘‘days gone by’ or ‘back in the day’). 舊年과 作別하는 狀況과 戀人을 떠나 보내는 아쉬운 狀況이 一致합니다, *2.why not be mine 으로 되어 있는 歌詞도 있습니다, *3. 포도주는 glass로 마시고 커피는 cup으로 마신다고 中高校 英語 時間에 배웠으나 Auld lang syne (作詞: Scotland 詩人 Robert Burns <1788년>, 作曲: 未詳 <Scotland 民謠>) 에 따르면 옛날에는 포도주도 cup으로 마셨던 것 같습니다.
'PMC (Pop Music Cl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th sides now (0) | 2018.01.14 |
---|---|
Only yesterday (0) | 2018.01.07 |
Blue Christmas (0) | 2017.12.24 |
Silver bells (0) | 2017.12.17 |
Old lang syne (0) | 2017.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