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論語

述而 07-32; 子與人歌而善

728x90

 

<論語: 述而 07-32>

子與人歌而善必使反之而後和之

[자여인가이선. 필사반지. 이후화지.]

 

[飜譯 by sjc]

孔子님께서 他人 함께 노래를 부르실 他人 노래가 좋으면 반드시 ( 他人더러) 다시 노래하라고 하셨다. 그리고 나서 ( 他人) 合唱 하셨다.

 

[構文分析 by sjc]

(<孔子)(with)(a man)(to sing)(and)(to be good)(surely)使(to let)’反之(to repeat)’(and)(afterwards)’和之(to sing together)’

 

[英譯]

When the Master was in company with a person who was singing, if he sang well, he would make him repeat the song, while he accompanied it with his own voice.

 

原文

07.32 与人歌而善必使反之而后和之

07-32 子與人歌而善必使反之而後和之

 

by sjc

 

[中文注釋_飜譯 by sjc]

 

[中文_飜譯 by sjc]

孔子与别人一起唱歌如果唱得好一定要请他再唱一遍然后和他一起唱<孔子께서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노래를 하실 때, 만약 노래가 좋으면 반드시 노래를 부른 사람에게 再請하시고 난 다음에 그와 함께 노래를 부르셨다.>

 

[日文 & _飜譯 by sjc]

()

音律がよく調(ととの)っていること。<音律이 잘 만들어져 있는것。>

すこと。反復。『集注』には「は、なり。わしむるは、らんとするなり」(復也必使復歌者欲得其詳而取其善也とある<되풀이하는 反復。『集注』에는「은、이다。반드시 노래시키는 것은、그 을 얻어 좋은 点을 가지려고 바라는 것이다」(復也必使復歌者欲得其詳而取其善也)라고 되어 있다>

自分調子わせてう。『集注』には「後之すは、するをぶなり」(而後和之者喜得其詳而與其善也)とある<自身曲調를 맞춰서 노래하다。『集注』에는 「而後에 和한다는 것은 詳細함을 얻어 좋은 点과 함께함을 즐거워하다」(而後和之者喜得其詳而與其善也)라고 되어 있다。>

(現代語)

先生相手うのがにいると、きっとくりかえさせて、あとで合唱した。魚返おがえり善雄論語新』)<先生님께서는 相對方노래하는 것이 마음에 드시면、반드시 되풀이하게 하시고、나중에 合唱하셨다。魚返おがえり善雄論語新』)>

先師は、かといっしょにをうたわれる場合相手がすぐれただと、ずその相手にくりかえしわせてから、合唱された。下村湖人現代訳論語<先師께서는, 누군가와 함께 노래를 부르실 경우、相對方이 뛰어난 歌手라면반드시 相對方에게 反復해서 노래를 하게 하신 다음合唱하셨다下村湖人現代訳論語』)>

(口語)先生他人っていて、があるにはずもう一度歌ってもらう。そので、になってその唱和する。<先生께서 他人과 함께 노래를 하셔서、좋은 노래가 있을 때는 반드시 노래를 하게 하셨다。그 다음에、함께 그 노래를 부르셨다。>

'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述而 07-33; 文莫吾猶人也  (0) 2021.04.10
八佾 03-20 子曰:關雎  (0) 2021.04.03
八佾 03-19_定公問:君使臣  (0) 2021.03.27
述而 07-31  (0) 2021.03.27
八佾 03-18; 事君盡禮,  (0) 2021.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