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論語

雍也 06-26

728x90

<論語: 雍也 06-26>

宰我問曰。仁者雖告之曰。井有仁者焉。其從之也。子曰。何爲其然也。君子可逝也。不可陥也。可欺也。不可罔也。

[재아문왈. 인자수고지왈. 정유인자언. 기종지야. 자왈. 하위기연야. 군자가서야. 불가함야. 가사야. 불가망야.]

 

[飜譯 by sjc]

宰我가 물었다。우물 속에 사람이 빠졌다는 內容이 仁者에게 (거짓) 報告되더라도 그(仁者)그 內容에 順從해야 하는지요?。子曰。왜 그런 일을 하느냐?。君子 (속아서 그 우물가에) 갈 수는 있으나 (判斷力이 흐려져서 그 우물 속으로) 내려갈 수는 없다() 君子를 속일 수는 있어도 昏迷하게 할 수는 없다

 

[英譯]

Zai Wo asked, saying, "A benevolent man, though it be told him, 'There is a man in the well' will go in after him, I suppose." Confucius said, "Why should he do so? A superior man may be made to go to the well, but he cannot be made to go down into it. He may be imposed upon, but he cannot be fooled."

 

【原文】

626 宰我:“仁者告之曰井有仁(1)从之也?”子曰:“其然也君子可逝(2)不可陷(3)可欺也不可罔也。”

06-26 宰我問曰。[仁者雖告之曰]*1。井有[仁者]*2焉。其從之也。子曰。何爲其然也。君子可逝也。不可陥也。可欺也。不可罔也。

 

[構文 分析 by sjc]

宰我(<人名)’(to inquire)(to say)[(benevolent)(man)(even if)’告之(to tell)’(to say)]*1。井(a well)(to exist)(benevolent)(man)(<語助詞)。其(the)’從之(to follow)’(<語助詞)。子(<孔子)(to say)。何(what)(to do)(the)(such)(<語助詞)。君子(man of virtue)(can)(to go)(<語助詞)。不(not)(can)(to fall into)(<語助詞)。可(can)(to deceive)(<語助詞)。不(not)(can)(to puzzle)(<語助詞)

 

[註釋 by sjc]

*1.告之는 原來 他動詞이지만 여기서는 受動態 形態 解釋 되어야 합니다. , ‘仁者(<主語)’(even if)告之(to be told)(to say)의 構文이 되어 “~의 內容이 仁者에게 報告되더라도의 뜻이 됩니다., *2. 文脈上 人(사람)으로 解釋함.

 

[中文_飜譯 by sjc]
宰我:“于有仁德的人人告他井里掉下去一位仁人跟着下去?”孔子:“这样做呢君子可以到井去救却不可以陷入井中君子可能被欺但不可能被迷惑。”<宰我에 對하여 물었다:“仁德이 있는 사람에게 다른 사람이 말하기를 우물 속에 사람이 빠졌다고 한다면 그는 곧바로 (우물 속으로) 내려가야 할까요?”孔子:“왜 그런 일을 하느냐君子는 우물가에 가서 救助活動을 할 수는 있으나 우물 속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君子를 속일 수는 있어도 (君子의) 判斷力을 잃게 할 수는 없다。”>

[中文 註釋_飜譯 by sjc]

(1)里指有仁德的人< 仁德이 있는 사람을 指稱한다.>
(2)
里指到井去看并法救之<우물가에 가서 보고 救助 方法을 세우는 것을 指稱한다. >
(3)
陷入<빠지다>

             

[日文 & 註釋_飜譯 by sjc]

  • 井有仁焉 … 皇侃(おうがん)本等では「井有仁者焉」にる。<皇侃(おうがん)本等에는井有仁者焉으로 되어 있다>
  • 其從之也 … 皇侃(おうがん)では其從之與<皇侃(おうがん)에는其從之與로 되어 있다>
  • 下村湖人18841955)は「宰我(さいが)先師にたずねた。仁者は、もしもがおちこんだといって、だまされたら、すぐってとびこむものでしょうか。先師がこたえられた。どうしてそんなことをしよう。君子はだましてまでかせることはできる。しかし、おとしれることはできない。人情えてあざむくことはできても、しい断力わせることはできないのだ」としている(現代訳論語<宰我(さいが)先師께 여쭈었다仁者혹시 우물 속에 사람이 빠졌다고 하는 말에 속는다면 곧바로가서 우물 속으로 뛰어 들어가야 할까요?先師께서 對答하셨다왜 그런 짓을 하느냐?君子는 속아서 우물까지 갈 수는 있다그러나우물 속으로 내려 갈 수는 없다人情에 呼訴하여 (君子) 속일 수는 있어도(君子) 올바른 断力을 喪失할 수는 없다」(現代訳論語>

口語宰我(さいが)がおねしてった。『仁者は、(であっても)ちたとけば、即座むでしょうか。』。孔子がおえしてわれた。『どうしてそんなことをするだろうか。君子であればそこまでかせることはできるが、にまでとすことはない。君子すことはできるが、状況確認しないままにむような無知にはない。< 宰我가 여쭈었다。『仁者、(거짓말이라도우물 속에 사람이 빠졌다고 들으면곧바로 우물에 뛰어 들어가야 하는지요?。』。孔子께서 對答하셨다。『 그런 일을 해야 할까。君子라면 거기까지 갈 수는 있지만우물 속까지 들어갈 수는 없다君子를 속일 수는 있어도(君子가) 確認하지 않은 채 (우물 속으로) 뛰어 들어가는 無知한 行動을 할 수는 없다。』>

'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雍也 06-28  (0) 2020.07.26
雍也 06-27  (0) 2020.07.19
雍也 06-25  (0) 2020.07.05
雍也 06-24  (0) 2020.06.28
雍也 06-23  (0) 2020.06.21